국내 연구진이 150만 년 전 기후 정보를 담은 남극 빙하 탐사에 성공했다.
극지연구소는 이주한 박사 연구팀이 미국 앨라배마대와 함께 국내 주도로 개발한 심부빙하투과 레이더 기술을 활용해 남극에서 3500m 두께 빙하 탐사를 무사히 마쳤다고 5일 밝혔다.
심부빙하는 최소 1000m 이상의 깊이에 존재하는 빙하로, 이 오래된 빙하를 밖으로 끄집어 내는 심부빙하 시추는 10년 이상 걸리는 초장기 프로젝트이다. 정확한 위치 선정은 사업의 성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레이더 탐사는 시추 전 성공률을 높이는 필수 작업에 속한다.
연구팀이 탐사한 지역은 남극 대륙 돔C 지역으로, 남극에서 가장 두꺼운 빙하가 있다고 알려진 곳 중 하나다. 우리의 장보고남극과학기지와는 약 1300㎞ 떨어져 있다.
연구팀은 2018년부터 4년 간의 연구를 통해 최대 4000m 깊이까지 정밀 분석이 가능한 세계 최고 수준의 레이더 기술을 개발했다. 경비행기에 부착하는 방식의 빙하 레이더는 헬기를 사용했을 때보다 탐사 반경이 6배 이상인 1500㎞까지 늘어난 2800㎞에 달하고, 레이더로 확인한 빙하의 평균 두께는 3000m였다.
연구팀은 이번 탐사를 통해 빙하 레이더의 기술력을 입증했고, 빙하층뿐 아니라 빙하 아래 남극 대륙의 구조, 빙저호의 유무까지 확인할 수 있는 시각 데이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3년 간 심부빙하 시추 후보지역을 선별하기 위한 추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주한 극지연 미래기술센터장은 "남극의 빙하는 지구에서 옛날 기후가 가장 촘촘하게 기록된 지구의 사료"라며 "빙하 레이더 탐사 성공으로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특별한 여정을 순조롭게 출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극지연구소는 우리나라가 주도해 개발한 레이더 기술로 남극에서 3천500m 두께 빙하 탐사에 성공했다고 5일 밝혔다.
과거 기후가 기록된 빙하는 기후변화 연구의 핵심 자료이며 두께가 3천m 이상인 빙하에는 최소 150만년 전의 대기 정보가 담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극지연구소 이주한 박사 연구팀은 미국 앨라배마 대학교와 함께 개발
카테고리 없음